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29

배틀그라운드 크래프톤 상장에 대한 모든것

배틀그라운드 크래프톤 상장에 대한 모든것 설립일 : 2007년 2020년 매출, 영업이익 : 1조 6704억원, 7739억원 (46.3%의 이익률) 총 공모주식수 : 865만4230주 희망 공모가액 : 40만원~49만8000원 (최상단으로 예상) 청약일 : 8월 2일~3일 환불일 : 8월 5일 상장일 : 8월 10일 상장후 예상 시가총액 : 24조3510억원 상장 대표 주관사 :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미래에셋 : 796,189 ~ 955,427주 NH투자증권 : 718,301 ~ 718,301 ~ 861,961주 삼성증권 : 649,068 ~ 778,881주 (중복청약 가능) 최소단위, 증거금율 : 10주, 50% 공모가를 49만 8000원으로 계산할 경우 최소증거금은 249만원이 필요합..

카카오뱅크 청약 마감! 나는 몇주 받아갈까? (균등,비례)

카카오뱅크 청약 마감! 나는 몇주 받아갈까? (균등,비례) 카카오뱅크의 청약이 마감되었습니다. 총 0.80조의 증거금이 모였습니다. 상장예정일은 8월 5일 목요일입니다. KB증권의 경우 예상 균등배정 5.41 (5~6주) 한국투자증권 3.49 (3~4주) 하나금융투자 4.59 (4~5주) 현대차증권 6.56 (6~7주) 정수는 확정물량 소수점은 추첨을 통해 배정됩니다. 저는 하나금융투자에 청약을 넣어서 균등 물량은 4~5주로 확인되네요 ^^ 비례물량도 살펴볼까요? KB증권 비레경쟁률 335.79 한국투자증권 406.24 하나금융투자 333.51 현대차증권 348.64입니다. 자신이 청약한 주식 갯수 / 비례경쟁률하시면 비례물량이 나옵니다. 저는 하나금융투자에 2000주를 청약했는데요. 2000/333.5..

주소보정명령 받았을 경우 해결법 (사실조회신청서, 보정기간연장 신청하는 법)

주소보정명령 받았을 경우 해결법 (사실조회신청서, 보정기간연장 신청하는 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소 보정명령을 받았을 경우 해결방안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주소 보정명령을 받았을 경우 7일내로 피고의 등본을 첨부해야하는데요. 피고의 주민등록번호가 보정명령서에 적혀있거나, 보정명령서에 있는 주소에 피고가 1번이라도 등기가 됬을경우에는 주민센터에서 해결이 가능합니다. 보정명령서(원본)와 소장사본, 신분증을 챙겨서 가까운 주민센터에 방문하시면 피고의 등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점은 꼭 원본을 가져가셔야합니다. 저는 열람용자료로 뽑아갔다가 두번 주민센터에 방문했어요...ㅠㅠ 열람/발급에서 정(등)본발급에서 '발급'을 눌러서 발급받으세요. 원본에는 아래에 바코더가 같이나와요. (모래 흩뿌린 모양) 하지만 피..

공모주 청약 균등/비례 계산법 (청약 취소시 수수료는 어떻게 되나요?, 두군데 청약넣고 취소해도 되나요?, 중복 청약하면 어떻게 되나요? )

공모주 청약 균등/비례 계산법 (청약 취소시 수수료는 어떻게 되나요?, 두군데 청약넣고 취소해도 되나요? 중복 청약하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카카오뱅크 청약일이죠? 오늘은 공모주 청약시 균등배분과 비례배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균등배분은 '증권사별 균등배정 물량/신청 계좌수(청약건수)' 입니다. 비례배분은 증권사별 비례배정 물량을 증거금에 비례하여 배분합니다. 그렇다면 균등 경쟁률을 구해볼까요 26일 1시 30분 한국투자증권 기준으로 카카오뱅크의 배정주식수는 5,978,606, 균등배정물량은 2,989,303, 비례배정물량은 2,989,303, 청약건수는 338,418입니다. 균등배정물량인 2,989,303/ 청약건수 338,418 = 8.83입니다. 8는 확정물량, 8.83 소수점은..

한국투자증권에서 카카오뱅크 청약하기

한국투자증권에서 카카오뱅크 청약하기 안녕하세요 카카오뱅크는 현재 매도리포트로 고평가 논란에 시달리고 있는데요. 저도 넣을까.. 말까? 고민하다가 일단 한투로 청약을 넣어봤어요 카카오뱅크청약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 참고해주세요 https://komumu.tistory.com/567 카카오뱅크 청약일정 (청약증권사, 물량 많이 받는 법) 카카오뱅크 청약일정 (청약증권사, 물량 많이 받는 법) 안녕하세요. 공모 대어라고 불리는 '카카오뱅크'가 오늘부터 공모주 청약을 받습니다. 7월 26일 오전 10시~오후 4시, 7월 27일 오전 10시~ komumu.tistory.com 그럼 한국투자증권에서 청약하기 따라오세요~ 1. 한투어플을 키고 로그인해주세요. 2. 하단에 '메뉴' 클릭후 '청약' 을 검색해..

카카오뱅크 청약일정 (청약증권사, 물량 많이 받는 법)

카카오뱅크 청약일정 (청약증권사, 물량 많이 받는 법) 안녕하세요. 공모 대어라고 불리는 '카카오뱅크'가 오늘부터 공모주 청약을 받습니다. 7월 26일 오전 10시~오후 4시, 7월 27일 오전 10시~오후 4시 이렇게 이틀 청약을 받습니다. 공모가는 39,000원으로 희망공모가 밴드 33,000~39,000원 중 최상단입니다. 균등제로 1주를 받으려면 39,000원 * 10주 (최소청약물량) /2 (증거금 50%) 를하면됩니다. 195,000원이 필요하겠네요. 의무보유확약 비중은 45.28%입니다. 보통 금융회사는 PBR이 0.3~0.47인것에 비해 카카오뱅크는 7.3배를 받습니다.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입니다. PBR값이 1에 가깝거나 1 아래일수록 저평가 종목입니다. 카뱅은 현재도..

비수도권 7월 27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시행!

비수도권 7월 27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시행! 델타 바이러스의 엄청난 감염력에 비수도권이 7월 27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가 적용됩니다. 수도권은 '거리두기 4단계' 시행으로 환자 발생이 정체하고 있으나 비수도권은 오히려 환자가 늘어나는 상황이죠. 그렇다면 '거리두기 3단계' 무엇이 달라질까요? -다중이용시설 관리 (이용인원) 시설면적 8㎡당 1명(기본)으로 인원 제한 (운영시간) 유흥시설, 홀덤펍ㆍ홀덤게임장, 콜라텍ㆍ무도장(1그룹) 및 식당ㆍ카페, 노래(코인)연습장, 목욕장업, 수영장, 방문판매 등을 위한 직접판매홍보관은 22시 이후 운영 제한 - 실내체육시설 중 비말이 많이 발생하는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중심 으로 감염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대신 22시 운영 제한 예외 적용 (집합금..

대서란? (대서 뜻, 대서에 먹는 음식, 과일이 가장 맛있는 시기)

대서란? (대서 뜻, 대서에 먹는 음식, 과일이 가장 맛있는 시기) 2021년의 대서는 7월 22일인 오늘입니다. 대서는 '큰 더위'라는 뜻입니다. 24절기 중 12번째 절기로 소서와 입추사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이 시기는 대개 중복(中伏) 때로,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합니다. 예부터 대서에는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입니다. 대서는 중복 무렵일 경우가 많으므로, 삼복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이나 산정(山亭)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습니다. 때때로 이 무렵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한반도에 동서로 걸쳐 있으면 큰 비가 내리기도 합니다. 불볕더위, 찜통더위도 이때 겪게 됩니다. 무더위를 삼복으로 나누어 소서와 대서라는 큰 명칭으로 부른 것은 무더위에 대한 경각심을..

중복 (중복 뜻, 중복에 먹는 음식, 중복 관련 속담, 2021년 중복)

중복 (중복 뜻, 중복에 먹는 음식, 중복 관련 속담, 2021년 중복) 안녕하세요. 2021년의 중복은 7월 21일 오늘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참고로 말복은 8월 10일 화요일이랍니다. 보통 10일 간격을 띄고 있습니다. 중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는 속절입니다. 오늘 온도가 37도까지 오른다고하니 주의하세요! 중복의 뜻 복날은 장차 일어나고자 하는 음기가 양기에 눌러 엎드려 있는 날이라는 뜻입니다. 복(伏)자는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있는 형상으로, 가을철 금(金)의 기운이 대지로 내려오다가 아직 여름철의 더운 기운이 강렬하기 때문에 일어서지 못하고 엎드려 복종한다[屈伏]는 의미로, 여름의 더운 기운이 가을의 서늘한 기운을 제압하여 굴복시켰다는 뜻입니다. 곧 오행에서 여름은 불[火]..

부린이 탈출하기 (호가, 실가,전세가율, 로얄층, 로얄동이란?)

부린이 탈출하기 (호가, 실가,전세가율, 로얄층, 로얄동이란?) 안녕하세요^^ '어제의 호가는 오늘의 실가'라는 말 들어보신 적있으신가요..? '호가'가 뭐고, 실가가 무엇일까요? 호가는 파는사람이 받고 싶어하는 가격입니다. 부동산은 정찰제가 아니기때문에 실거래보다 비싸게 내놓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에가서 '8억에 올려주세요'하면 호가는 8억이 되겠죠? 실가는 실거래가의 줄임말입니다. 실제 집이 판매되었던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부동산에서도 '시세/실거래가'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가 따로 있습니다. 호가를 아무리 높게 올려도, 실거래가와 맞지 않으면 매수하지않겠죠? 전세가율은 무엇일까요? 전세가율이란 주택매매가격에 대비한 전세가격의 비율을 말합니다. '전세가/시세'로 계산합니다. 매가가 상승..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