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주식 이야기

혼돈의 카카오뱅크 매도기 / VI란? 단일가란?

꼬무무 2021. 8. 6. 15:13
728x90
반응형

 

 

혼돈의 카카오뱅크 매도기 /  VI란? 단일가란?

 

 

 

 

 

 

 

안녕하세요.

8월 6일은 카카오뱅크 상장일이였죠.

당초 고평가 논란과는 다르게 따상은 실패했지만, 공모가 39,000원에서 종가 63,300원까지 오른 모습을 보였습니다.

저는 9시전 매도가를 70,000원으로 걸어놨다가 장 시작전 시가가 급격하게 빠지자 53,800원에 11개 전량을 매도했는데요.

제가 파니까 외국인 매수와 함께 오르더라구요.. 또르르

한국투자증권은 HTS가 터져서 강제로 60,000원 이상대에 매도할 수 있었겠네요..

부럽습니다.

 

 

 

 

 

 

이번 공모주로 번 돈은

53,800원 - 39,000원 = 14,800원

14,800원 *11주 = 162,800원입니다.

대강 수수료를 떼면 160,000원 정도 벌었겠네요..

11만원 더 벌 수 있었는데 ..ㅠㅠ

에잇...!!!!! 돈을 벌었는데도 배가 아프네요.

 

 

 

 

 

 

VI란?

 

 

오늘 카카오는 VI가 두번이나 걸렸는데요

VI란 Volatility Interruption의 약자로 '변동성 완화 장치'입니다.

​'개별종목에 대한 체결 가격이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동하는 것으로 개별종목 주가의 급격한 변동을 막는 안전화 장치'입니다.

VI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동적VI와 정적VI인데요.

동적VI는 직전 체결가격을 기준으로 2~3% 이상 벗어나는 경우에 2분 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하는 것 입니다.

특정 호가에 의한 단기간의 가격 급변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정적VI는 전일 종가기준으로 10% 이상 주가 변동 시 10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하는 것 입니다.

장기적인 가격 변동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미국에는 없는 장치입니다.

 

 

 

 

 

단일가 매매란?

 

 

VI 발동시에는 단일가 매매가 이뤄지는데요.

동적VI경우 2분간 단일가 매매, 정적VI의 경우 10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이 됩니다.

그렇다면 단일가 매매는 무엇일까요?

단일가 매매란 '특정 주식 거래에 있어 주문 유입 시마다 거래를 체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동안 주문을 모아(pooling) 일정시점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하는 방식' 입니다.

오늘도 블로그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적게 일하고 많이 버세요 ^^

 

728x90
반응형